상품 검색

HOME>도서>대학교재 · 학술

대학교재 · 학술

본문

20개의 핵심 개념으로 읽는 디지털 기술사회

저자
배영자, 박경렬, 우하린, 유지연, 민병원, 최은창, 김도승, 이호영, 정원모, 조현석, 최항섭, 양종민, 김상배, 백욱인, 이원경, 송경재, 송태은, 윤정현, 강하연, 이승주  저
  • 가격

    29,000 원

  • 출간일

    2022년 09월 22일

  • 쪽수

    488

  • 판형

    170*230

  • ISBN

    979-11-6707-077-7

  • 구매처 링크

책 소개 요약

20개의 핵심 개념으로 읽는 디지털 기술사회는 디지털 기술사회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20개의 핵심 개념으로 기술, 데이터, 정보 공유, 지능, 시스템, 리스크, 공정, 불평등, 시간, 혁신, 가상현실, 디지털 문화, 디지털 권력, 플랫폼, 디지털 국가, 디지털 민주주의, 디지털 외교, 디지털 안보, 디지털 무역, 상호의존을 꼽는다. 그리고 각 개념을 정치외교학, 사회학, 법학, 기술경영학, 행정학 등 여러 학문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술사회에서 각 개념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 책은 디지털 전환과 과학기술 발전이 사회와 구성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짚어보고, 이에 따라 사회구조, 문화, 생활양식과 윤리의식 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 디지털 전환으로 급변하는

디지털 기술사회를 적극적으로 이해해야 할 시점

 

다양한 과학기술들이 디지털 전환과 함께 일상에 자리 잡으면서 새로운 행동 양식과 문화가 탄생했다. 과학기술로 인한 변화는 단지 개인의 일상뿐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 경제, 행정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이제는 디지털 기술사회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새로운 사회적 정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책은 현대 사회가 지닌 기술사회적 특징에 주목한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디지털 기술사회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 20개를 선정했다. 한 개념을 각 장의 주제로 삼아 현 사회를 분석하고, 과학기술과 미래사회를 예측한다. 변화하는 사회의 구조와 권력 관계, 그 가운데 새로 형성되는 문화와 인간 정체성 등을 살펴보고 관련 논의를 알아본다.

 

디지털 기술사회의 기본 개념에서부터 국제정치·경제 문제까지

다양한 학문을 아우르는 이론과 관점을 제시

 

이 책은 총 20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기술사회를 이해하는 20개의 키워드를 그 성격과 분야에 따라 총 5부로 나눴다.

1부에서는 디지털 기술사회의 기본 개념으로서 기술, 데이터, 정보, 지능을 다룬다.

1장에서는 기술 개념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기술, 인간, 사회의 이해관계에 대한 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기술에 관한 이해를 넓힌다.

2장에서는 데이터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을 살펴보고, 미래의 데이터 연구 방향을 전망한다.

3장에서는 정보 공유의 개념과 기능을 살펴보고, 정보통신기술 발달에 따른 정보 공유의 변화 양상에 대해서 알아본다.

4장에서는 지능과 관련된 개념들을 소개하고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지능의 개념과 의미를 찾는다. 기술사회에서 지능 관련 논의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본다.

2부에서는 사회적 관점에서 시스템, 리스크, 공정, 불평등에 대해 살펴본다. 과학기술이 산업에 적용되면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의 사례를 확인하고, 비판적 시각에서 과학기술 활용을 바라보며, 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5장에서는 기술이 인간의 이익을 위해 활용되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인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그 대안으로 시스템 사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6장에서는 리스크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살펴보고, 기술에 대한 개인과 국가의 의식이 리스크 정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본다.

7장에서는 기술사회에서 활용되는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공정 개념을 알아본다. 기술 투명성 확보와 비판적 수용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의 공정성을 담보를 주장한다.

8장에서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확대된 노동의 자동화, 플랫폼 노동, 알고리즘 편향 등이 일으키는 사회 불평등 문제에 주목한다.

3부에서는 사회·문화의 관점에서 시간, 혁신, 가상현실, 디지털 문화 개념을 살펴본다. 각 개념이 기술사회에서는 어떻게 정의되고, 어떤 특징을 갖는지에 대해 다룬다.

9장에서는 시대에 따라 변화한 시간의 개념에 대해 알아본다. 시간의 개념이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변화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기술사회에서의 시간의 특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0장에서는 기술혁신을 바라보는 혁신체제적 접근과 사용자 혁신의 관점을 소개하고 관련된 기술혁신 논의들을 소개한다. 더불어 기술혁신이 단지 상업적 가치 창출만을 위한 것이 아니며,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주목해야 함을 주장한다.

11장에서는 기술발달로 탄생한 제2의 현실인 가상현실에 대해 살펴본다. 상용화되고 있는 가상현실 기술들을 개인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가상현실과 관계 맺는지를 분석한다.

12장에서는 문화의 개념들을 살펴본 후에 기술사회의 디지털 문화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 분석한다.

4부에서는 디지털 권력, 플랫폼, 디지털 국가, 디지털 민주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각 국가의 디지털 기술 활용 현황과 그 가운데 존재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에 주목한다.

13장에서는 디지털 기술사회에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권력 관계들에 주목하며, 이러한 권력의 변환 양상이 디지털 권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본다.

14장에서는 디지털 기술사회의 노동, 산업 공간인 플랫폼에 주목한다. 플랫폼이 가진 다양한 특징과 플랫폼 사용자, 이용자 사이의 관계 등을 살펴봄으로써 플랫폼에 관한 비판적 연구의 필요성을 말한다.

15장에서는 디지털 기술 발전의 영향으로 변화한 국가의 역할, 개인과 국가와의 관계, 공공과 민간의 관계 등을 살펴본다. 기술사회에서의 국가 의미를 분석한다.

16장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민주주의인 디지털 민주주의의 개념과 배경에 대해 알아본다. 더불어 디지털 민주주의와 관련한 최근의 논의를 소개한다.

5부에서는 국제정치적 관점에서 무역, 안보, 외교 분야에서의 디지털 전환 양상을 살펴본다. 4차산업혁명으로 더욱 촘촘해진 글로벌 네트워크가 외교, 안보, 무역, 상호의존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술사회의 쟁점들을 짚어낸다.

17장에서는 발전된 기술환경에 의해 변화한 외교에 주목하고,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기술 발전이 외교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디지털 데이터가 외교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변화한 확장된 외교의 주체와 관련 이슈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8장에서는 디지털 기술사회에 이르러 변화한 안보 개념에 주목한다. 디지털 전환과 함께 안보의 적용 대상과 범위가 확장되고 변화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핀다.

19장에서는 디지털 무역에 대한 기존의 개념과 논의들을 정리한다. 디지털 무역이 세계정치·경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이것이 기업과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20장에서는 국제정치에서의 상호의존에 주목한다. 현대 사회에 이르러 위협으로 변화한 상호의존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21세기의 상호의존 무기화와 국제정치에 변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저 : 배영자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 정치경제, 과학기술과 국제정치, 인터넷과 국제정치, 과학기술 외교다. 주요 논문으로는 과학기술의 세계정치연구 현황(2021), 국제정치패권과 기술혁신: 미국 반도체 기술 사례(2020), 과학기술과 공공외교(2013) 등이 있다.

저 : 박경렬

카이스트(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조교수다. 경영공학부 겸임교수와 카이스트 인공지능연구소 사회정책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외교학 복수전공)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 케네디스쿨에서 정책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뒤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 경영학부에서 정보시스템과 혁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세계은행(World Bank) 이노베이션 랩(Innovation Lab)에서 근무하며 디지털기술 공공데이터와 개발도상국 사회혁신에 관한 연구와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지속가능 발전, 디지털 전환, 글로벌 기술 거버넌스다.

저 : 우하린

한국행정연구원 미래행정혁신연구실 부연구위원이다. 조지아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직, 성과관리, 정보관리다.

저 : 유지연

상명대학교 휴먼지능정보공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에서 정보경영공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부연구위원을 지냈다. 주요 연구분야는 기술과 사회, 디지털 윤리, 국가 위험 관리다.

저 : 민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정치이론, 문화와 정치, 정보화 시대의 정치 등이며, 주요 논저로는 탈근대 전쟁과 속도의 정치학”(2022), “네트워크 국가의 등장과 국가론”(2022), “최선의 가능한 세계: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기원에 관한 고찰”(2022) 등이 있다.

저 : 최은창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석사·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예일대학교 로스쿨에서 석사학위(LLM)를 받았다. 옥스퍼드대학교 법과대학 사회적 법학(Socio-Legal Studies) 센터의 방문학자, 예일대학교 로스쿨의 정보사회 프로젝트(Information Society Project) 펠로우,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펠로우로서 연구했다. ITU ·태지역 최고위교육센터,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강의했다. 역서로는 네트워크의 부(2015), 사물인터넷이 바꾸는 세상 (2017), 디지털 문화의 전파자 밈Meme(2021), 저서로는 레이어 모델(2015), 가짜뉴스의 고고학(2020), 공저로는 인공지능 윤리와 거버넌스(2021) 등이 있다.

저 : 김도승

목포대학교 법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원, 대통령소속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전문위원, 한국법제연구원 법제분석지원실장을 역임했다. 현재 전자정부추진위원회 위원, 공공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 위원, 국가사이버안보센터(NCSC) 자문위원, 인터넷신문자율공시기구(IDI) 검증위원장을 맡고 있다. 개인정보보호법학회 부회장, 한국인터넷윤리학회 부회장, 한국공법학회 연구이사, 한국정보법학회 총무이사, 한국재정법학회 연구이사 등을 맡아 정보법 분야에서 활발한 학술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전자정부, 데이터행정, 개인정보 보호, 사이버안보, 국가재정 등이다. 주요 저서(공저)로는 개인정보 판례백선(2022), 디지털 뉴딜시대의 스마트관광도시(2021), 재정건전성과 법치(2020), 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3.0(2019) 등이 있다.

저 : 이호영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파리 제5대학교에서 문화사회학을 전공했다.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경제사회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기술로 인한 사회변동, 디지털 불평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현재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연구를 수행 중이다. 공저로는 플랫폼 사회가 온다(이재열 외)(2020)가 있다.

저 : 정원모

국민대학교에서 사회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아시아퓨쳐스그룹 이사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래사회, 미래연구 방법론이다.

저 : 조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전문대학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 분야는 국제정치경제와 국제정치며 주 관심 분야는 정보기술의 국제 정치경제 및 신흥 군사안보다. ‘미국과 EU 간 개인정보 보호 분쟁’, ‘디지털 보호주의’, ‘자율무기체계와 미래 전쟁등을 주제로 한 논문들이 있다.

저 : 최항섭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제5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보사회학, 미디어사회학, 문화사회학이다. 대표 저서로는 지능정보사회의 이해(공저)(2021), Global Capitalism and Culture in East Asia (공저)(2019), 4차산업혁명 아직 말하지 않은 것들(공저)(2018)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A sociological study on the disgust of the young generation toward the Elderly in Korean society”(2021), “La Consommation nomadique des jeunes coréens”(한국청년세대의 유목적 소비)(2020) 등이 있다.

저 : 양종민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객원연구원이면서 육군사관학교와 국민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문화산업의 국제 정치경제, 국가-시장 관계, ··학 복합체, 밀리테인먼트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대학-연구소 네트워크: 게임의 밀리테인먼트(Militainment)(2020), 디지털미디어 콘텐츠 플랫폼의 정치경제: 자유시장의 관리 vs. 보호된 자유경쟁(2022) 등이 있다.

저 : 김상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흥안보, 사이버안보,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 미래전 중견국 외교다. 대표 저서로는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 버추얼 창과 그물망 방패: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와 한국,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기술·안보·권력의 복합지정학등이 있다.

 

저 : 백욱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사회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보사회의 정치경제와 문화다. 대표 저서로는 인터넷 빨간책(2015), 번안 사회(2018) 등이 있다.

저 : 이원경

일본 조치대학교(Sophia University) 글로벌교육센터 조교수다.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 서 학사학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일본 와세다대에서 정보통신정책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지역연구, 과학기술과 국제정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등이다. 주요 연구로는 일본 인터넷 민족주의 전개와 한국에 대한 함의(2013), 인터넷 미디어를 활용한 일본 시민운동의 현황과 의의(2018) 등이 있다.

저 : 송경재

상지대학교 사회적경제학과 교수다. 경희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연구 이사와 부회장, IT정치연구회 회장, 여성정치문화연구소 이사, 신문발전위원회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최근 디지털 민주주의(민주주의 기술), 디지털기술의 정치과정 분석, 지역 거버넌스와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디지털 파워 2021: SW가 주도하는 미래사회의 비전(공저, 2021, HadA)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4차 산업혁명과 민주주의의 기술 ICT for Democracy: 전자민주주의 논의의 성찰과 재인식(2021), 사회적 자본은 시민참여를 강화하는가?(2020) 등이 있다.

저 : 송태은

국립외교원 안보통일연구부 조교수다.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학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고(UCSD)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 서울대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기술, 사이버전, 하이브리드전, 심리전, 전략커뮤니케이션 및 위기대응 등 신안보와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이슈다. 주요 논문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사이버전(202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정보심리전(2022), 바이든 행정부의 인공지능 국가 정책(2022), 신기술 무기의 안보적 효과와 주요 쟁점(2021) 등이 있다.

저 : 윤정현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선임연구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흥안보, 신흥기술 안보와 미래 리스크, 미래 전망 연구다. 주요 논문으로 “Governance on COVID-19 as Emerging Security Challenges”(2022), 메타버스 가상세계의 진화 전망과 혁신전략(2021) 등이 있으며, 과학기술과 국제정치를 아우르는 학제 간 융합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저 : 강하연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국제협력연구본부 다자협력연구실장이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학사, 연세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통상과 국제 정치경제, ICT 분야 국제관계 및 국제협력, 남북 ICT 협력이다.

저 : 이승주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South Korea’s Economic Statecraft in a Risky High-Tech World”(2022), “Changes in Interdependenc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New Dynamics of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 (2022), 패권의 미래: 미중 전략 경쟁과 새로운 국제 질서(2022) 등이 있다.

책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