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검색

HOME>도서>대학교재 · 학술

대학교재 · 학술

본문

심리학으로 만나는 정신건강

저자
조성근, 김소정, 김주은, 박수미, 박준호, 배성훈, 심예린, 이운영, 이항심, 원성두, 조은이, 홍예영  저
  • 가격

    22,000 원

  • 출간일

    2025년 08월 29일

  • 쪽수

    340

  • 판형

    188*257

  • ISBN

    979-11-6707-189-7 (93180)

  • 구매처 링크

출판사 서평

 

당신의 마음은 건강하신가요?”

심리학으로 만나는 정신건강 이야기

 

우리는 매일 잘 지내요?”라는 인사를 주고받곤 하지만, “당신의 마음은 건강하신가요?”라는 질문은 좀처럼 하지도, 받지도 않는다. 몸의 피로나 통증에는 금세 반응하면서도, 마음의 불편함이나 균열에는 무심해지기 쉽다. 그러나 정신건강은 특정한 상황에 처한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라, 나이와 직업, 환경을 초월해 모든 이의 삶과 직결된 주제이다.

심리학으로 만나는 정신건강은 심리학의 관점에서 정신건강을 깊이 이해하고, 나아가 개인과 사회의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은 정신건강의 의미를 출발점으로 삼아 스트레스, 정신장애, 중독 등 정신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된 영역을 다루고, 정서 조절, 심리자본과 성격 강점의 활용, 삶의 의미 탐구 등을 통해 개인의 정신건강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대인관계, 부모자녀관계, 다문화와 다양성 등 사회적 맥락으로 시선을 확장하여, 정신건강을 더욱 폭넓게 이해하도록 이끈다.

건강한 마음은 곧 건강하지 않은 마음을 이해할 때 비로소 온전히 드러난다. 이 책은 정신건강을 명료하게 바라보고, 건강한 마음을 가꾸는 데 든든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정신건강의 이론적 이해와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주제별 구성

 

이 책은 정신건강에 대해 심리학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가장 체계적인 안내서이다. 심리학 이론의 핵심 개념을 정신건강과 연관 지어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 성과와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복잡하고 어려운 이론을 도식화하여 정리한 그림과 일목요연한 표를 통해 더욱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정신건강 관련 심리 검사와 척도를 수록하여 전문적인 영역까지 밀도 있게 접할 수 있게 하였다. 주제에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참고할 만한 읽을거리를 더 알아보기생각해볼 문제코너로 마련하였으며, 각 장 말미에는 장의 전체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요약을 제공하였다. 끝으로, 다채로운 활동을 풍성하게 구성하여 정신건강의 증진을 실생활과 접목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은 총 12장에 걸쳐 정신건강에 관한 여러 이론과 실천 방안을 폭넓게 다룬다.

 

1정신건강에 대한 이해에서는 심리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 지식을 소개하고, 정신건강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른 판단 기준과 정신건강의 원인을 설명하는 주요 접근 방법들을 살펴본다.

2스트레스에서는 스트레스의 의미와 측정 방법,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대처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본다.

3성격과 정신건강에서는 성격의 정의와 다양한 성격 이론, 성격이 정신건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개한다.

4정신장애에서는 성격의 정의와 다양한 성격 이론, 성격이 정신건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들여다본다.

5정신건강과 중독에서는 중독의 개념과 원인을 알아보고, 물질중독의 가장 흔한 유형인 알코올중독과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 행동중독 유형인 스마트폰중독에 대해 설명한다.

6자살과 비자살적 자해에서는 스스로를 해치는 행동인 자살과 비자살적 자해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발생 배경과 보호 요인을 알아본다.

7정서 조절에서는 정서의 의미와 정서 조절의 이점 및 전략에 대해 이해한다.

8심리자본 및 성격 강점의 활용에서는 심리자본과 성격 강점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개인의 성장 및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9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에서는 삶의 의미에 대한 관점과 개념을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이를 경험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10대인관계와 의사소통에서는 대인관계의 의미와 유형이 변화해온 과정을 톺아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1부모자녀관계에서는 부모자녀관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적 관계 형성을 위한 방법에 관해 살펴본다.

12일상에서 만나는 다문화와 다양성에서는 다문화와 다양성의 의미를 알아보고, 다문화 수용과 타자화를 정신건강의 측면에서 설명한다.

저 : 조성근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 학사

미국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심리학과 석사

미국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심리학과 박사(임상심리학 전공)

() 한국건강심리학회 회장

() 한국임상심리학회 학술부회장

() 충남대학교 심리성장과자기조절센터 센터장 

저 : 김소정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조교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박사(임상 및 상담심리학 전공)

() 한국임상심리학회 임상심리교육정책연구위원장

()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교육위원장

()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전문가(수련감독자)

() 미국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방문연구원

저 : 김주은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

한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사

미국 Columbia University 심리학과 석사

미국 Syracuse University 심리학과 박사(임상심리학 전공)

() 대전중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센터장

() 캐나다 Centre for Addiction and Mental Health 임상심리 레지던트

저 : 박수미

한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조교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과학과 박사(임상의과학 전공)

()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전문가(수련감독자)

저 : 박준호

경상국립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학사, 심리학과 석사, 박사(임상심리학 전공)

() 한국심리학회 심리검사심의위원장

() 한국건강심리학회 회장

저 : 배성훈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자율전공학부 상담심리전공 조교수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박사(임상심리학 전공)

() 가톨릭꽃동네대학교 부설 심리상담센터장

() 한국학교심리학회 학술위원장

() 명지대학교 통합치료대학원 겸임교수

저 : 심예린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미국 Colorado State University 심리학과 박사(상담심리학 전공)

() 충남대학교 심리성장과자기조절센터 부센터장

() 한국상담심리학회 부편집위원장

() 미국 University of Pennsylvania Positive Psychology Center 박사후연구원

() 한국상담심리학회 학술위원장

저 : 이운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빙부교수

성균관대학교 섬유공학과 학사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박사(기초심리학 전공)

저 : 이항심

건국대학교 상담학과 및 상담심리학과 부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과 학사(심리학과 복수전공)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미국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교육·학교·상담심리학과 박사(상담심리학 전공)

() 건국대학교 미래의일연구소 소장

() 한국생애개발상담학회 이사

() 미국심리학회 Society for Vocational Psychology 의장

() 미국 Oklahoma State University 상담 및 상담심리학과 교수

저 : 원성두

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조교수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박사(임상심리학 전공)

() DCU마음건강센터 센터장

() 한국임상심리학회 수석부회장

() 계요병원 임상심리과장

()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대우조교수

저 : 조은이

선문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조교수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교육상담 전공)

() 한국상담학회 편집위원

() 한국실존주의상담학회 학술위원장

()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조교수

()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후연구원

 

저 : 홍예영

심리상담센터 나다움 대표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박사(상담 및 임상심리학 전공)

() 가톨릭꽃동네대학교 겸임교수

() 서울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

() 명지대학교 통합치료대학원 겸임교수

책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