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교재 · 학술
과거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인간의 기원에 관한 근원적 물음들에 해답을 찾으려는 노력이다. 인류는 얼마나 오래전에 등장했는가? 그들은 언제, 어떻게 진화했는가? 인류가 지닌 놀라우리만치 다양한 생물학적, 문화적 특성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초기 인류들은 어떻게 세계 곳곳으로 이주했으며, 왜 어떤 사회는 땅을 경작하고 소를 기른 반면 어떤 사회는 수렵채집민으로 남았는가? 왜 어떤 인간 집단은 채집민이나 소규모 가족 유단(遊團)을 이루고 산 반면 고대 이집트인이나 멕시코의 아스텍인은 고도로 정교한 문명을 발전시켰는가? 좀더 복잡한 인간 사회들은 언제 진화했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답이 될 초기 인류의 탄생과 진화, 현대 인간의 기원, 식량 생산의 기원, 국가와 문명의 발생과 전개에 관한 새로운 중요 발견 사항들을 담고 있다.
- 세계 선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제1장에서 이 중요한 주제에 관한 새로운 사조를 반영하면서 과거에 대한 대안적 관점들과 고고학을 새로이 논의하였다.
- 초기 인류의 진화: 제2장에서 에티오피아 및 케냐에서 가장 최근에 발견한 화석들을 포함하면서 인류 기원 연구의 최신 전전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 현대인의 기원: 제3장에서 이론 분분한 최초 현대인 문제와 네안데르탈인의 계보 및 행동에 대한 최신 지견들을 새롭게 다루었다.
- 식량 생산의 기원: 제5장에서 농경 및 동물 순화의 기원에 관한 최신 이론들을 폭 넓게 짜 넣었으며, 각지의 최초 농경민을 다룬 제6장에서는 가속질량분석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으로 얻은 초기 농경의 최신 연대들과 현재 세계에서 가장 이른 농경 취락 중 일부가 발견되고 있는 참인 터키 동부에서의 새로운 연구 성과들을 담았다.
- 국가와 문명의 기원: 제8장에서 국가조직 사회의 기원에 관해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이론적 논쟁을 분파주의 및 카리스마 리더십 문제를 포함해 다루었다. 제9장에서 제14장까지는 각지의 최초 문명들에 대해 최신 사실을 서술하고 분석을 하였으며 특히 고대 이집트 문명과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국가에 대해 이전보다 깊이 다루었다. 제12장과 제13장에서는 저지대 및 고지대 메조아메리카 문명을 이전 판보다 폭 넓고 깊게 분석한 결과를 담았다.
더불어 분문 서술 내용을 보완하고 깊이를 더하기 위해 세 가지 유형의 특집 테 글을 곳곳에 배치하였다.
- 과학: 이 테 글들은 주요 연대측정법과 여타 과학적 접근방법들을 소개하는데 예를 들면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과 가속질량분석법, 환경 복원 연구법 등이다.
- 유적: 대부분의 장에 특히 중요하고 아주 흥미로운 측면을 가진 유적을 설명하는 테 글을 한 개 이상 배치하였다.
- 고대인의 음성: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메조아메리카 문명에 관한 장들에 특별 테 글을 배치하였는데 이는 당대의 저술을 직접 인용함으로써 고대인의 이례적 ‘음성’을 생생하게 들려준다.
저 : 브라이언 페이건 (Brian M. Fagan)
|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세계 선사학 권위자이며 고고학의 대중화를 위한 교양서와 교과서를 많이 썼다. 캠브리지 대학 펨브로크 칼리지에서 고고학과 인류학을 수학하고 나서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박물관과 유적 보호 기관들에서 7년 동안 일하였고 그 사이에 잠비아와 동아프리카의 초기 농경 유적들을 발굴하였다. 1967년 이래로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 바라라 대학의 인류학 교수 및 명예교수를 역임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특히 일반 사람들을 위해 고고학을 저술하고 강의하는 일에 몰두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Ancient Lives: An Introduction to Archaeology and Prehistory, People of the Earth: An introduction to World Prehistory, The Rape of the Nile, The Adventure of Archaeology, Time Detectives가 있다. |
역 : 이희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동국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및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경북대학교 명예교수이다. 고고학 이론 및 방법론에 관심을 갖고 한국 고대국가 형성 과정을 고고학으로 해명하는 작업에, 특히 마립간기 신라를 고고학으로 연구하는 데 집중하였다. 저서로는 『신라고고학연구』, 『대가야고고학연구』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인류의 선사문화』, 『고고학 세계로의 초대』, 『현대 고고학의 이해』, 『Discovery!』, 『현대 고고학 강의』, 『죽음의 고고학』, 『세계 선사 문화의 이해』, 『고고학의 방법과 실제』 등이 있다. |








